문제 출처: 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이게 순차 다이어그램이다. 정적인 것이 아닌 동적으로 시간 순서에 따른 흐름을 정리한 다이어그램이다.
익스트림 프로그래밍이란 빠르게 소규모 기능 추가를 반복하며 소비자의 피드백을 받아 개선해 나가는 프로그래밍 방법이다.
구조적이지 않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설계됐다.
5가지 핵심 원칙으론 의단용피존 (의사소통, 단순함, 용기, 피드백, 존중)이 있다.
연관관계: 고객 - 상품 구매
포함관계: 구매 버튼 -<<include>>- 결제하기
확장 관계: 현금 인출 -<<extend>>- 잔액 부족 알림
일반화 관계: 소셜 로그인, 일반 로그인 -> 로그인
<문제 해설>
기능적 요구사항 Vs 비기능적 요구사항
- 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이 실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관점을 둔 요구사항
- 비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 구축에 대한 성능, 보안, 품질, 안정 등에 대한 성능, 보안, 품질, 안정성등으로 실제 수행에 보조적인 요구사항
오답피하기
- 차량 대여 시스템이 제공하는 모든 화면이 3초 이내에 사용자에게 보여야 한다' 는 성능에 해당 하므로 비기능적 요구사항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두목넷]
미들웨어란 여러 서버들 사이에서 동작하며 응답을 가로채서 중간에 처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함
예를 들어서 카프카 SQS 같은 대형 큐나, 스프링 시큐리티의 필터단이 있음
3번은 SQS에서 인프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생각, 4번은 SNS에서 구독 퍼블리싱을 생각하면 된다.
오버로딩은 자바에서 함수명은 똑같이 가져가도, 파라미터가 다르면 다른 함수로 동작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정보처리기사에서 말하는 인터페이스는 시스템과 시스템 또는 서브스와 서비스 간의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이나 규약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즉, 그냥 프로토콜과 비슷한 개념인 것 같다.
<문제 해설> [구조패턴] -어댑터 -브릿지 -컴포지트 -데코레이터 -퍼싸트 -플라이웨이트 -프록시 [해설작성자 : 아기재혁] 생성패턴 : 객체를 생성하는 것에 대한 패턴 - 추상 팩토리 패턴(abstract factory), 빌더 패턴(builder), 팩토리 메소드 패턴(factory method), 프로토타입 패턴(prototype), 싱글톤 패턴(singleton) 구조패턴 : 구조를 통해 확장성을 꾀하는 패턴 - 어댑터 패턴(adapter), 브릿지 패턴(bridge), 컴포지트 패턴(composite), 데코레이터 패턴(decorator), 퍼사드 패턴(facade), 플라이웨잇 패턴(flysweight), 프록시 패턴(proxy) 행위 패턴 : 행위의 변경, 수정 등을 위한 패턴 - 역할 사슬 패턴(책임 연쇄, chain of reposibility), 커맨드 패턴(command), 인터프리터 패턴(interpreter), 이터레이터 패턴(반복자, iterator), 미디에이터 패턴(중재자, mediator), 메멘토 패턴(memento), 옵저버 패턴(observer), 상태 패턴(state), 전략 패턴(strategy), 템플릿 메소드 패턴(template method), 비지터 패턴(방문자, visitor) [해설작성자 : ㅈㅇㅎ] |
<문제 해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구분
- CLI(Command Line Interface) : 텍스트 형태 인터페이스
- GUI(Graphical User Interface) : 마우스로 선택하여 작업하는 그래픽 환경 인터페이스
- NUI(Natural User Interface) : 사용자의 말이나 행동으로 기기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모든 행동 목소리
- VUI(Voice User Interface) : 사람의 음성으로 기기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 OUI(Organic User Interface) : 모든 사물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사물인터넷 의미함
[해설작성자 : 밤진]
동료검토(Peer Review)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명세서 내용을 직접 설명하고 동료들이 이를 들으면서 결함을 발견 |
워크스루(Walk Through) | 검토 회의 전에 요구사항 명세서를 미리 배포하여 사전 검토한 후에 짧은 결함을 발견 |
인스펙션(Inspection)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를 제외한 다른 검토 전문가들이 요구사항 명세서를 확인하면서 결함을 발견 |
출처: https://devinus.tistory.com/14
<문제 해설>
DRM(Digital Right Management)
- 디지털 콘텐트의 지적재산권보호, 관리 기능 및 안전한 유통과 배포를 보장하는 솔루션이다.
- 디지털 콘텐트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는 권한통제기술, 사용권한제어 기술, 패키징 기술, 라이선스 관리를 포함한 유통체계이다.
- 디지털 콘텐츠와 디바이스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하드웨어 제조업자, 저작권자, 출판업자 등이 사용할 수 있는 접근 제어 기술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위험 모니터링(monitoring)의 의미
-> 위험 요소 징후들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인지하는 것
[해설작성자 : 내일정치기합격기원]
화이트박스 테스트란 서비스의 모든 코드와 내부 구조를 전부 아는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정적 분석과 동적 분석 모두 가능하며, 정적 분석에서는 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고 문제점을 찾으며
동적 분석에서는 코드를 실행시켜 보며 문제를 찾는다.
내부 흐름을 모두 알기 때문에 로직 흐름도를 만들 수도 있고, 테스트 케이스와 검증기준을 모두 만들 수도 있다.
블랙박스 테스트는 프로그램의 구조를 모르는 상태에서 실행하는 테스트다.
코드 개발이 완료된 후 마지막에 인풋값에 따른 아웃풋 값이 잘 나오는지 또는,
이상한 값을 넣으면 에러가 잘 터지는지 등, 기능 테스트를 수행한다.
<문제 해설>
가 - 사전교육
나 - 준비
다 - 인스펙션 회의
라 - 수정
마 - 후속조치
[해설작성자 : ㅎㅎ]
필요 데이터를 넘겨주고, 결과값을 받아서 판단하는 역할이 테스트 드라이버
필요 데이터를 받은 후 로직을 수행하고 결과값을 반환하는 역할이 테스트 스텁
preorder 루트 레프트 라이트
inorder 레프트 루트 라이트
postorder 레프트 라이트 루트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 정리 - 1 (2024년 2회, 2024년 3회) (0) | 2025.04.07 |
---|---|
[정보처리기사] 전공자 필기 4일 합격 후기 (0) | 2025.02.15 |
[정보처리기사] 문제 정리 - 4 (0) | 2025.02.10 |
[정보처리기사] 문제 정리 - 3 (2) | 2025.02.09 |
[정보처리기사] 문제 정리 - 2 (1)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