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18532 KB, 시간: 204 ms
브루트포스 알고리즘
2024년 3월 24일 20:17:12
2017년 4월 5일 식목일을 맞이한 진아는 나무를 심는 대신 하이테크관 앞 화단에 꽃을 심어 등교할 때 마다 꽃길을 걷고 싶었다.
진아가 가진 꽃의 씨앗은 꽃을 심고나면 정확히 1년후에 꽃이 피므로 진아는 다음해 식목일 부터 꽃길을 걸을 수 있다.
하지만 진아에게는 꽃의 씨앗이 세개밖에 없었으므로 세 개의 꽃이 하나도 죽지 않고 1년후에 꽃잎이 만개하길 원한다.
꽃밭은 N*N의 격자 모양이고 진아는 씨앗을 (1,1)~(N,N)의 지점 중 한곳에 심을 수 있다. 꽃의 씨앗은 그림 (a)처럼 심어지며 1년 후 꽃이 피면 그림 (b)모양이 된다.
꽃을 심을 때는 주의할 점이있다. 어떤 씨앗이 꽃이 핀 뒤 다른 꽃잎(혹은 꽃술)과 닿게 될 경우 두 꽃 모두 죽어버린다. 또 화단 밖으로 꽃잎이 나가게 된다면 그 꽃은 죽어버리고 만다.
그림(c)는 세 꽃이 정상적으로 핀 모양이고 그림(d)는 두 꽃이 죽어버린 모양이다.
하이테크 앞 화단의 대여 가격은 격자의 한 점마다 다르기 때문에 진아는 서로 다른 세 씨앗을 모두 꽃이 피게하면서 가장 싼 가격에 화단을 대여하고 싶다.
단 화단을 대여할 때는 꽃잎이 핀 모양을 기준으로 대여를 해야하므로 꽃 하나당 5평의 땅을 대여해야만 한다.
돈이 많지 않은 진아를 위하여 진아가 꽃을 심기 위해 필요한 최소비용을 구해주자!
입력의 첫째 줄에 화단의 한 변의 길이 N(6≤N≤10)이 들어온다.
이후 N개의 줄에 N개씩 화단의 지점당 가격(0≤G≤200)이 주어진다.
꽃을 심기 위한 최소 비용을 출력한다.
풀이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찾아봐야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탐색을 하는게 효율적일까 생각하는데 시간을 너무 많이 썼다.
우선 dfs로 탐색을 하기로 했고, 백트레킹 조건을 (count == 3) count는 꽃의 개수 로 걸었다. 당연한 조건이어서 백트레킹이라 하기에도 애매한 거 같긴하다,,
코드
package hello.core.backjoon;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import java.math.*;
import java.lang.*;
public class Main{
static int SUM = 20000;
static int N = 0;
static int x[][];
static Boolean exist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x = new int[N][N];
exists = new Boolean[N][N];
for(int i = 0 ;i<N;i++){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j = 0 ;j<N;j++){
x[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exists[i][j] = true;
}
}
dfs(0,0);
System.out.println(SUM);
}
public static void dfs(int count, int sum){
if(count == 3){
SUM = Math.min(sum, SUM);
return;
}
else{
for(int i = 1;i<N-1;i++){
for(int j=1;j<N-1;j++){
if(isPossible(i,j)) {
int tmp_sum = getSum(i, j);
setFalse(i,j);
dfs(count+1,sum+tmp_sum);
setTrue(i,j);
}
}
}
}
}
public static Boolean isPossible(int i, int j){
if(exists[i-1][j] && exists[i+1][j] && exists[i][j-1] && exists[i][j+1]){
return true;
}
else{
return false;
}
}
public static int getSum(int i,int j){
return x[i][j] + x[i-1][j] + x[i+1][j] + x[i][j-1] + x[i][j+1];
}
public static void setFalse(int i, int j){
exists[i][j] = false;
exists[i-1][j] = false;
exists[i+1][j] = false;
exists[i][j-1] = false;
exists[i][j+1] = false;
}
public static void setTrue(int i, int j){
exists[i][j] = true;
exists[i-1][j] = true;
exists[i+1][j] = true;
exists[i][j-1] = true;
exists[i][j+1] = true;
}
}
'코딩 테스트 연습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4889번 스타트와 링크 (java) (1) | 2024.04.07 |
---|---|
백준 1182번 부분수열의 합 (java) (0) | 2024.03.30 |
백준 19637번 IF문 좀 대신 써줘 (0) | 2024.03.14 |
백준 2503번 숫자야구 (0) | 2024.03.09 |
백준 3085번 사탕게임 (3) | 2024.03.07 |